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5)
CSS CSS 기본 사용법Inline 방식 : 태그 안에 style 정의This is a red paragraph.장점간편함: 특정 요소에만 스타일을 적용해야 할 때 빠르게 적용할 수 있음직관적: 코드만으로 해당 요소의 스타일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단점유지보수 어려움: 여러 요소에 동일한 스타일을 적용할 때, 일일이 수정해야 하므로 관리가 힘듦재사용성 낮음: 동일한 스타일을 여러 곳에 적용할 수 없음가독성 저하: HTML과 CSS 코드가 섞여 있어 문서의 가독성이 떨어짐 Internal 방식 : style 태그로 지정 This is a blue paragraph.장점문서 전반에 걸쳐 스타일 적용: 한 문서 내의 여러 요소에 동일한 스타일을 쉽게 적용할 수 있음별도의 파일 불필요: 외부 CSS 파일을 불러올 필..
HTML 태그 및 속성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웹 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태그 : HTML을 구성하기 위한 요소  태그의 분류 (Block, Inline)Block태그블록(block) 태그는 페이지에서 하나의 큰 블록을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화면의 전체 가로 폭을 차지블록 요소는 항상 새 줄에서 시작하고, 다음 요소도 새로운 줄에서 시작따라서 블록 요소는 그 안에 다른 블록 요소나 인라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Block 태그들은 css의 속성 중 height, width, margin, padding 등 적용가능Block 태그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nline 태그인라인(inline) 태그는 새로운..
[네이버 부스트캠프] 챌린지 후기 네이버 부스트캠프 챌린지 9기 (2024.07.15 ~ 2024.08.09) 네이버 부스트캠프 챌린지 과정나는 네이버 부스트캠프 챌린지 웹풀스택 과정을 수료했다. 혹시나, 부스트캠프에 대해 모르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으니 챌린지 과정이 어떤 것인지 간단히 설명을 해보겠다. 웹풀스택 과정은 JavaScript를 활용하여 중요한 CS 전공지식을 동료와 함께 공부하는 과정이다.매일 난이도 높은 과제를 통해 결과물을 제출하고 그것에 관련된 내용을 공부한다. 운영체제, 네트워크, 데이트베이스, 자료구조 등의 내용을 학습한다. 거의 매일 과제물과 학습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한시간 씩 피어세션을 진행하여 개인의 인사이트를 공유한다.또한, 시간이 지나면, 동료와함께 페어프로그래밍, 페어 코딩 등 짝과 함께 개발을 하면서..
TCP/IP OSI 3계층과 4계층3계층 (Network Layer) : IP가 활용되는 부분, 경로와 목적지를 찾아주는 Routing을 담당4계층 (Transport Layer)송신자와 수신자의 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신뢰성있는 연결을 유지에 기여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가 대표적 TCP/IP (TCP + IP)IP가 패킷들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고 그저 목적지를 제대로 찾아가는 것에 중점을 둔다면 TCP는 통신하고자 하느 양쪽 단말(Endpoint)이 통신할 준비가 되었는지, 데이터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데이터가 가는 도중 변질되지는 않았는지, 수신자가 얼마나 받았고 빠진 부분은 없는지 등을 점검합니다. 이런 정보는 TCP Header에 담겨 있으며 SYN,..
HTTP Request와 Response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HTTP는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모델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클라이언트(보통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적절한 응답을 반환 HTTP Request (요청)클라이언트가 서버에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요청 라인(Request Line)메서드(Method): 요청의 종류GET: 리소스 요청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가져옴)POST: 데이터 제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여 처리 요청)PUT: 리소스 전체 업데이트DELETE: 리소스 삭제PATCH: 리소스 부분 업데이트HEAD: GET과 동일하지만 응답 본문을 제외하고 헤더만 요청URL: 요청..
파일 입출력 fs를 활용한 I/O 처리const fs = require('fs');// 파일 읽기fs.readFile('example.txt', 'utf8', (err, data) => { if (err) { console.error(err); return; } console.log(data);});// 파일 쓰기const content = 'Hello, World!';fs.writeFile('example.txt', content, err => { if (err) { console.error(err); return; } console.log('File has been written');}); 파일 읽기 : readFile 혹은 readFileSync 사용파일 쓰기 : writeFil..
Worker Thread Worker Thread 동작 방식Worker Thread는 일반적으로 메인 스레드와 분리된 별도의 스레드에서 실행되는 작업을 의미함이 스레드는 백그라운드에서 긴 작업을 수행하여 메인 스레드의 응답성을 유지작업 요청: 메인 스레드가 작업을 생성하고 이를 Worker Thread에 전달작업 수행: Worker Thread는 전달받은 작업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메인 스레드는 다른 작업을 계속 수행 가능작업 완료 통보: Worker Thread가 작업을 완료하면 메인 스레드에 이를 통보하고, 결과를 반환이 과정에서 Worker Thread는 메인 스레드와 별도의 스택, 힙, 명령 포인터를 가지며, 이를 통해 작업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 사용 방법// CommonJSconst { Worker } = r..
DBMS, SQL, 트랜잭션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데이터를 저장, 관리, 검색 및 조작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생성과 유지 관리를 책임짐DBMS는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며, 다수의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조정 DBMS의 주요 개념데이터베이스: 관련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저장한 집합테이블: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저장 단위로, 행(개별 데이터 항목)과 열(데이터의 속성)로 구성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메타데이터. 테이블, 열, 제약 조건, 관계 등을 나타냄쿼리(Query):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수행되는 명령어 또는 요청으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조작 DBMS의 기능데이터 정의: 테이블과 관계를 정의하고 데이터베이..